TechY
들으면서 휘갈기는 컴퓨터 구조 1강 본문
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: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+ 운영체제 : 링크
-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
- 데이터
- 명령어
-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
- CPU
- 메모리 (주기억장치)
- 보조기억장치
- 입력출력장치
- 메모리
-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부품
- 메모리에는 주소라는 것이 있음. 원하는 명령어와 데이터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 주소
-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함
- CPU
-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,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
- ALU, 제어장치, 레지스터 이렇게 3개가 핵심 부품임
- ALU : 계산기
- 레지스터 : cpu 내부의 작은 저장장치
- 제어장치 : 제어 신호를 내보내고,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
- 제어 신호 : 부품들을 관리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신호
- 메모리 읽기 (read from memory)
- 메모리 쓰기 (write to memory)
- 제어 신호 : 부품들을 관리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신호
- 제어장치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레지스터로 가져옴, 그걸 제어장치가 해석함. 필요하면 다시 메모리에서 뭘 더 가져옴. 계산이 필요하면 alu 에게 주고 다시 레지스터에 담음. 이 과정에서 필요하면 제어 장치가 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기도 함
- 보조기억장치
- 전원이 꺼져도 보관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품
- 메모리는 실행할 정보를 저장하고 보조기억장치는 보관할 정보를 저장
- 입출력장치
-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서 내부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부품
- 메인보드
- 연결된 부품들은 버스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음
- 핵습 부품을 연결하는 버스는 시스템 버스
- 주소 버스 : 주소를 주고 받는 통로
- 데이터 버스 : 명령어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로
- 제어 버스 :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통로
'[간단 정리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IAM 권한 쪽 메모 (1) | 2025.07.27 |
---|---|
Merkle Tree와 Turbopuffer 간단 정리 (0) | 2025.06.09 |
ReAct paper 읽어보며 이것저것 생각해보기 (0) | 2025.03.05 |
Model needs token to think (0) | 2025.02.15 |
LLM working-memory vs vague recollection (0) | 2025.02.11 |